엑셀 강좌 14

엑셀 MIN 함수 (EXCEL 최소값 함수 사용법)

최소값을 구하는 MIN 함수. 이번 포스트는 MIN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정된 셀 내에서 최소 숫자를 찾아주는 아주 편하고 간단한 함수입니다. 엑셀로 보고서를 작성하다 보면 가장 작은 값을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1,000가지 제품 중 가장 적게 팔린 제품이라던가, 판매량이 실적이 가장 적었던 달의 판매 금액을 보여주어야 할 때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함수가 MIN 합수입니다. 간단한 예제를 보면서 MIN 함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시험 점수중 최소점을 받은 점수가 몇 점인지 찾아보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위 그림처럼 셀에 "MIN=(범위)"만 입력하면 아주 쉽게 최소 점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범위 지정 방법은 "MIN=(" 입력 후 C3을 클릭..

엑셀 강좌 2022.04.26

엑셀 MAX 함수 (EXCEL 최대값 함수 사용법)

최대값을 구하는 MAX 함수. 이번 포스트는 MAX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정된 셀 내에서 최대 숫자를 찾아주는 아주 편하고 간단한 함수입니다. 엑셀로 보고서를 작성하다 보면 가장 큰 값을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1,000가지 제품 중 가장 많이 팔린 제품이라던가, 판매량이 가장 많았던 달의 판매 금액을 보여주어야 할 때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함수가 MAX 함수입니다. 간단한 예제를 보면서 MAX 함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시험 점수중 최고점을 받은 점수가 몇 점인지 찾아보는 간단한 예입니다. 위 그림처럼 셀에 "MAX=(범위)"만 입력하면 아주 쉽게 최고 점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범위 지정 방법은 "MAX=(" 입력하고 C3을 클릭 상태에서 ..

엑셀 강좌 2022.04.25

엑셀 AVG 함수 (excel 평균 함수 사용법)

엑셀로 문서 작성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 중에 하나인 AVG 함수. 이번 포스트는 AVG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VG 함수는 AVERGE 함수의 약자로 둘 중에 어느 거를 사용해도 상관없으나 아무래도 6자를 타이핑하는 것보다는 3자를 타이핑하는 게 편하겠죠? 엑셀로 문서를 만들다 보면 셀 숫자의 평균을 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간단한 예제를 보면서 AVG 함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그전에 AVG 함수를 사용하지 않은 방법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위 그림처럼 "=(셀+셀+셀....)/ 개수를 입력하여도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 평균을 구해야 하는 셀의 개수가 많으면 생각해도 복잡하겠지요? 이러한 복잡함을 해소해 주는 함수가 AVG 함수입니다. 위 그림처럼 셀에 "=AVG(범위)"만 입..

엑셀 강좌 2022.04.24

엑셀 함수 sum (excel 자동 합계 사용법)

엑셀로 문서 작성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SUM 함수.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SUM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문서를 만들다 보면서 숫자를 더해야 하는 일은 비일비재하게 발생합니다. 간단한 예제를 보면서 SUM 함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그전에 SUM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위 그림처럼 "=셀+셀+셀...." 입력하여도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만약 100과목 합계를 구한다면 위 그림처럼 더하기를 이용하여 100번 반복하면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해 주는 게 SUM 함수입니다. 위 그림처럼 셀에 "=SUM(범위)"만 입력하면 쉽게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은 "=SUM(" 입력하고 C3을 클릭한 상태에서 C7까지 드래그하고 ..

엑셀 강좌 2022.04.24